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이천시의회 ICHEON CITY COUNCIL

  • 전체메뉴
  • 외부링크
  • 검색
  • 검색
  • 사이트맵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페이스북
  • 글자를 크게
  • 글자를 보통으로
  • 글자를 작게

맨위로 이동


소통하는 공감의회, 행동하는 열린의회

이천시의회

> 회의록 > 질문답변관리 > 시정질문

이천시의회 - 시정질문

  • 프린터
  • 이전으로
  • 공유하기

시정질문

시정질문 보기 : 회기, 차수, 질문자, 날짜, 안건, 질문내용, 답변차수, 답변날짜, 답변자, 답변내용, 소관부서, 추진경과, 추진상황로 구분
회기 제149회 제2차정례회 차수 제3차 본회의
질문자 김문자의원 날짜 2012-12-21
안건 미래의 생명산업인 농업 육성책 및 특용작물 기술개발 R&D 투자 확대
질문내용
회의록보기
첫 번째 질문으로, 우리나라 기후변화에 대비한 미래의 생명산업인 농업 육성책 및 특용작물 기술개발 R&D 투자확대에 대한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지구촌이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또한 크게 변해 왔습니다.  기온의 경우는 지난 100년간 지구 평균 2배인 1.7℃ 상승하였고, 강우량 또한 19% 증가한 반면에 일조시간은 14% 감소했습니다.  앞으로도 우리나라는 극한 고온현상 및 호우빈도의 증가는 물론 우리 생활 터전인 중부지역 이천까지 아열대 기후로 변화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이에 우리 이천시도 기후변화에 발맞춰 미래의 생명산업인 농축산업을 효자산업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대응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기후변화 적응 품종 개발은 물론 재배기술 개발ㆍ보급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이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본 의원이 조사한 바로는 농특산물 특용작물 분야에 인삼을 제외하고는 소면적 신소득작목 육성 시범사업 및 민속산채 재배단지 조성사업 외에는 투자 및 지원이 거의 전무한 상황입니다. 
  전남농업기술원에서는 기후 온난화에 대응하여 열대시금치, 모로헤이야, 오크라 등 전남지역에 유망한 아열대 채소의 기능성 성분을 이용하여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요리법과 가공제품을 10여 종 개발ㆍ보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 시와 자매도시인 강원 삼척시의 경우에는 세계 최고 20대 건강식품으로 알려진 열대작물 얌빈을 시험 재배하여 성공했다고 합니다. 
  아주 오래 전에 많은 사람들이 금보다 반도체가 더 비쌀 것이라고 했고, 이 예상은 이미 현실이 되어 있습니다.  지금 반도체보다 비싼 것이 종자(種子)입니다.  토마토나 파프리카 종자 가격이 금값의 두세 배가 되고, 세계 종자시장의 규모는 700억 달러가 넘는다고 합니다.  시장은 매우 빠르게 커져 가고 있고, 생명산업인 농업이 기회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굳이 우리나라 토종 품종이 아닌 외래종이라도 괜찮습니다.  우리 시 기후 변화에 맞는 특용작물의 품종 개량 및 개발 그리고 시험 재배 등 지금 우리에게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것은 미래에 대한 과감한 투자라고 생각하는데 시장님은 생각이 어떠신지, 이에 대한 종합 마스터플랜을 가지고 계신지 답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답변차수 제4차 본회의 답변날짜 2012-12-22
답변자 조병돈 시장
답변내용
첫 번째, 농업육성과 특용작물 기술개발 투자 확대와 관련해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의원님께서 지적하신 대로 우리 시도 기후변화에 따라 농업환경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대응방안의 일환으로 올해 신품종 실증시험과 연작장해 개선 시험연구 등을 농촌진흥청 등과 공동 수행한 바 있고, 기술이 정착되는 대로 점차 현장에 접목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특용작물 개발을 위해서 현재 율면 애호박단지 47농가 6.2ha, 그리고 마늘 재배단지 37농가 5ha를 조성하였고, 새로운 소득작목인 삼채 재배 매뉴얼을 수립해서 확대 보급할 계획입니다.
  토종특산물인 게걸무의 상품화와 소비 촉진을 위해서도 노력을 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아울러 농업분야의 체계적인 기술개발과 투자를 위해서 올해 농업기술보급 중ㆍ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였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소관부서
추진경과
추진상황
  • 1차2013-12-02 ❍ 게걸무 상품화 사업(2012) : 「자연을 담은 맛있는 밥상」 발간
    ❍ 신품종 실증시험 및 재배개선 시험(2012)
    - 상추 신품종 ‘미홍, 국화 ’마이크림‘ 실증시험, 연작장해 개선 시험연구
    ❍ 율면애호박단지 조성(2012) : 47농가, 6.2ha
      ❍ 농업기술보급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2012)
    - 친환경농축산물 생산기술보급 확대, 농산가공사업 육성, 농촌어메니티 관광    활성화, 농업인 전문기술교육 강화 등
    ❍ 새로운 소득작물 발굴 및 육성
      - 삼채 주산단지 견학(2013.03.04) 및 양파, 삼채 재배교육(2013.03.29) 실시
      - 2013 호법면 양파재배단지 조성 : 15농가 3.5ha
      - 우량종구를 활용한 마늘재배단지 추진(2013) : 50농가, 7.0ha
  • 2차
  • 3차
시정질문 보기 : 회기, 차수, 질문자, 날짜, 안건, 질문내용, 답변차수, 답변날짜, 답변자, 답변내용, 소관부서, 추진경과, 추진상황로 구분
회기 제149회 제2차정례회
차수 제3차 본회의
질문자 김문자의원
날짜 2012-12-21
안건 미래의 생명산업인 농업 육성책 및 특용작물 기술개발 R&D 투자 확대
질문내용
회의록보기
첫 번째 질문으로, 우리나라 기후변화에 대비한 미래의 생명산업인 농업 육성책 및 특용작물 기술개발 R&D 투자확대에 대한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지구촌이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또한 크게 변해 왔습니다.  기온의 경우는 지난 100년간 지구 평균 2배인 1.7℃ 상승하였고, 강우량 또한 19% 증가한 반면에 일조시간은 14% 감소했습니다.  앞으로도 우리나라는 극한 고온현상 및 호우빈도의 증가는 물론 우리 생활 터전인 중부지역 이천까지 아열대 기후로 변화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이에 우리 이천시도 기후변화에 발맞춰 미래의 생명산업인 농축산업을 효자산업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대응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기후변화 적응 품종 개발은 물론 재배기술 개발ㆍ보급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이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본 의원이 조사한 바로는 농특산물 특용작물 분야에 인삼을 제외하고는 소면적 신소득작목 육성 시범사업 및 민속산채 재배단지 조성사업 외에는 투자 및 지원이 거의 전무한 상황입니다. 
  전남농업기술원에서는 기후 온난화에 대응하여 열대시금치, 모로헤이야, 오크라 등 전남지역에 유망한 아열대 채소의 기능성 성분을 이용하여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요리법과 가공제품을 10여 종 개발ㆍ보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 시와 자매도시인 강원 삼척시의 경우에는 세계 최고 20대 건강식품으로 알려진 열대작물 얌빈을 시험 재배하여 성공했다고 합니다. 
  아주 오래 전에 많은 사람들이 금보다 반도체가 더 비쌀 것이라고 했고, 이 예상은 이미 현실이 되어 있습니다.  지금 반도체보다 비싼 것이 종자(種子)입니다.  토마토나 파프리카 종자 가격이 금값의 두세 배가 되고, 세계 종자시장의 규모는 700억 달러가 넘는다고 합니다.  시장은 매우 빠르게 커져 가고 있고, 생명산업인 농업이 기회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굳이 우리나라 토종 품종이 아닌 외래종이라도 괜찮습니다.  우리 시 기후 변화에 맞는 특용작물의 품종 개량 및 개발 그리고 시험 재배 등 지금 우리에게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것은 미래에 대한 과감한 투자라고 생각하는데 시장님은 생각이 어떠신지, 이에 대한 종합 마스터플랜을 가지고 계신지 답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답변차수 제4차 본회의
답변날짜 2012-12-22
답변자 조병돈 시장
답변내용
첫 번째, 농업육성과 특용작물 기술개발 투자 확대와 관련해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의원님께서 지적하신 대로 우리 시도 기후변화에 따라 농업환경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대응방안의 일환으로 올해 신품종 실증시험과 연작장해 개선 시험연구 등을 농촌진흥청 등과 공동 수행한 바 있고, 기술이 정착되는 대로 점차 현장에 접목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특용작물 개발을 위해서 현재 율면 애호박단지 47농가 6.2ha, 그리고 마늘 재배단지 37농가 5ha를 조성하였고, 새로운 소득작목인 삼채 재배 매뉴얼을 수립해서 확대 보급할 계획입니다.
  토종특산물인 게걸무의 상품화와 소비 촉진을 위해서도 노력을 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아울러 농업분야의 체계적인 기술개발과 투자를 위해서 올해 농업기술보급 중ㆍ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였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소관부서
추진경과
추진상황
  • 1차2013-12-02 ❍ 게걸무 상품화 사업(2012) : 「자연을 담은 맛있는 밥상」 발간
    ❍ 신품종 실증시험 및 재배개선 시험(2012)
    - 상추 신품종 ‘미홍, 국화 ’마이크림‘ 실증시험, 연작장해 개선 시험연구
    ❍ 율면애호박단지 조성(2012) : 47농가, 6.2ha
      ❍ 농업기술보급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2012)
    - 친환경농축산물 생산기술보급 확대, 농산가공사업 육성, 농촌어메니티 관광    활성화, 농업인 전문기술교육 강화 등
    ❍ 새로운 소득작물 발굴 및 육성
      - 삼채 주산단지 견학(2013.03.04) 및 양파, 삼채 재배교육(2013.03.29) 실시
      - 2013 호법면 양파재배단지 조성 : 15농가 3.5ha
      - 우량종구를 활용한 마늘재배단지 추진(2013) : 50농가, 7.0ha
  • 2차
  • 3차

전체 1129, 50 / 113페이지
게시판 목록 : 번호, 회기, 안건, 질문자, 발언일자, 추진경과, 소관부서로 구분
번호 회기 안건 질문자 발언일자 추진경과 소관부서
639 제149회 3차 설봉호수 명품화 방안 김문자 의원 2012-12-21 추진중 축산임업과 공원관리팀
638 제149회 3차 이천쌀 이용 활성화 관련 김문자 의원 2012-12-21 완료 농정과 쌀사랑팀
637 제149회 3차 증포동 복지환경 개선 김문자 의원 2012-12-21 불가 복지정책과
636 제149회 3차 공무원 근무태도 개선 관련 김문자 의원 2012-12-21 완료 자치행정과
635 제149회 3차 시민의 날 체육대회 활성화 방안 김문자 의원 2012-12-21 추진중 체육지원센터 체육진흥팀
634 제149회 3차 3번 국도 수광리 지역 활성화 대책 김문자 의원 2012-12-21 추진중 도시과 도시계획팀
633 제149회 3차 신재생에너지 보급 관련 김문자 의원 2012-12-21 완료 회계과 공공시설팀, 기업지원과
632 제149회 3차 미래의 생명산업인 농업 육성책 및 특용작물 기술개발 R&D 투자 확대 김문자 의원 2012-12-21 추진중
631 제140회 3차 부분용역 운영의 효율 도모를 위해 재단법인화 또는 시설관리공단으로 전환 관련 김문자 의원 2011-12-16 ·
630 제140회 3차 각종 문화강좌, 학습 프로그램 운영 창구 일원화 관리 김문자 의원 2011-12-16 추진중